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erver54

[Server] NTFS 권한 파일을 삭제,t생성하기 위해 => modify 파일을 삭제 생성 => write wirte 는 파일 생성가능하지만 modify 권한이 없으면 파일 이름이나 , 수정이 불가능하다 NTFS File and Folder Permissions 1. Full Control Change permissions, take ownership, and perform the actions permitted by all other NTFS file permissions 2. Modify Modify and delete the file and perform the actions permitted by the Write permission and the Read & Execute permission 새파일 만들고 수정가능, 삭제.. 2023. 3. 24.
[Server ] Samba ■ Samba 삼바는 리눅스와 윈도우간에 파일 및 프린터를 공유 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삼바를 통해 리눅스 서버를 타운영체제와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파일서버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삼바가 공유할 수있는 이유는 SMB(Server Message Block)/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라는 프로토콜을 이용함으로써 가능해졌다. ■SMB 란? SMB(Server Message Block)는 마이크로소프트사와 인텔이 윈도우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디스크나 프린터와 같은 자원을 공유할 있도록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이다 . TCP/IP 기반하의 NetBIOS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 프로토콜은 NFS, NIS, lpd 와 같은 유닉스의 분산인증구조와 유사하다.. 2023. 3. 24.
[Linux Server ] Samba 윈도우(클라이언트) -> 리눅스(서버) # useradd [-s /sbin/nologin] linuxuser 삼바공유 -> printer 공유 와 폴더 공유 보임 . http://localhost:631 . net use * /delete (★) => 로그인 내역 지우기 [share1] user3은 공유폴더 접근 및 읽고, 쓰기 가능한가? comment = share1 browseable = no path = /share1 writable = yes read list = user1 => user1이외의 유저에서는 파일을 읽을 수 없습니다. [share2] user3은 공유폴더에 쓰기 불가.. 2023. 3. 24.
[window Server ] SAMBA 리눅스(클라이언트) -> 윈도우(서버) 윈도우 서버 user1 사용자 생성 c:\share01(all) -→ 공유, 퍼미션 : everyone/full c:\share02(all) -→ 공유, 퍼미션 : administrator/full c:\share03(all) -→ 공유, 퍼미션 : user1/full linux 클라이언트 # rpm -qa | grep samba # yum -y install samba # smbclient -L 192.168.10.2 윈도우에서 root계정을 만들고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smbclient 로 접속하면 파일의 내용이 나온다. # mount -t cifs // 공유 서버/공유폴더 /마운트될리눅스폴더 -o username=[id],password=[서버 유저의 비밀번호] # mkdir /dir1 # moun.. 2023. 3. 24.
[Window server] NFS 설치 및 설정 LCS # vi /etc/exports /share1 192.168.30.1(rw,root_squash) #mkdir /share1 #chmod 707 /share1 #cd /share1 touch 1 #service portmap restart #service nfs restart WB2008 파일 서비스 -> 네트워크파일 시스템용 서비스 설치 ➢ mount \\1.1.1.2\share1 G: ➢ 탐색기에서 확인 WA2008 위와 똑같이 설치한 후 c:/sales -> NFS 공유하기 :권한 -> 루트 액서스 허용 sales 폴더에 1.txt 만들기 LDS # mkdir /mount1 #mount -t nfs 192... 2023. 3. 23.
[Linux Server] NFS 서버 실습 2023.03.23 - [Server/Linux Server] - [Linux Server] NFS Server [Linux Server] NFS Server NFS 서버 # rpm -qa nfs-utils # rpm -qa portmap # yum -y install *nfs* # vi /etc/exports /share 192.168.10.20(rw,sync) => 해당 폴더에 마운트 시킬 nfs클라이언트 ip주소를 적어줍니다. # mkdir /share # chmod 707 /share/ # /etc/init.d/po codejinjinh.tistory.com # vi /etc/exports /share1 192.168.20.1(rw,root_squash) # mkdir .. 2023. 3. 23.
[Sever] NFS ■ NFS ( Network File System ) NFS는 1985년 썬 마이크로시스템즈가 처음 개발했다. 원래는 디스크가 없는 클라이언 트를 위한 대체 파일 시스템으로 개발했으나 우수한 프로토콜 덕분에 범용 파일 공유 시 스템으로 발전했다. NFS는 상태 정보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어느 클라이언트가 마운트 했었는지 기억할 수 없다. 이를 위해 NFS서버는 마운트 요청이 성공적으로 받아들여졌을 때 쿠키를 부여하 는 방법을 사용한다. 쿠키는 NFS 서버에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인식해 클라이언트가 사 용하게 만든다. 마운트를 해제하고 다시 마운트를 하면 쿠키가 갱신된다. 부팅을 다시 하더라도 쿠키가 갱신되지 않는 이유는 서버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예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NFS는 리.. 2023. 3. 23.
[Linux Server] NFS Server NFS 서버 # rpm -qa nfs-utils # rpm -qa portmap # yum -y install *nfs* # vi /etc/exports /share 192.168.10.20(rw,sync) => 해당 폴더에 마운트 시킬 nfs클라이언트 ip주소를 적어줍니다. # mkdir /share # chmod 707 /share/ # /etc/init.d/portmap start # /etc/init.d/nfs start => 두과정을 진행하면 ok가 올라와야 합니다. # rpcinfo -p localhost # exportfs -a => /etc/exports 파일을 읽어들인다. # exportfs -r => /etc/exports 파일을 다시 읽어들인다. # exportfs -v => 현재의 .. 2023. 3. 23.
[Linux] 권한 설정 퍼미션 1.상대모드(심볼릭 모드) 2.절대모드(수치화) #파일의 접근 권한 -리눅스 == multi.user 환경이기 때문에 계정간, 파일에 대한 접근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음 각 계정 간, 그룹 간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관리가 필요하다. [root@server1|09:49:00~]#ls -l claccc -rwx------. 1 root root 72 10월 23 09:46 claccc ==> 권한 u g o -소유자 , 그룹, 기타 => 권한 -rwx --- --- Read : 읽기 복사가능, ls를 통한 확인까지 (조회에 대한 권한) Write : 쓰기 가능 ( 수정, 삭제, 이동,모두 가능) eXecute : 실행 (셀 스크립트 같은 실행 파일에 대한 실행권, 디렉터리의 경우 명령을 수행할 권리.. 2023. 3. 22.
[Linux] Group 관리 2023.03.21 - [Server/Linux Server] - [Linux Server] 리눅스 사용자 [Linux Server] 리눅스 사용자 사용자 관리 useradd [username] passwd [username] NEW UNIX password : [password] # vi /etc/shadow user1:암호화된 패스워드:::.... “ gdm 행 복사 -> 붙이기 : gdm사용자를 user1로 변경후 저장” # vi /etc/passwd user1:x:501:501:sal codejinjinh.tistory.com ■ 그룹 관리 groupadd(그룹 생성) / groupmod(그룹 변경) / groupdel(그룹 삭제) . gpasswd (관리자기능) # cat /etc/group ▶.. 2023. 3. 2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