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erver54 [Server] DNS (Domain Name System) DNS 서버란?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것 정방향 : 도메인 -> ip 주소 역방향 : ip 주소 -> 도메인 ※도메인 => naver.com 과 같이 외우기 쉽게 설정한 이름이다. DNS 동작 과정 Local(hosts) -> DNS cache table -> DNS server 위 과정에서 없다면 최상위(루트도메인) -> top level Domain -> Second level Domain -> Subdomain 순으로 ip를 찾는다. FQDN이란 ? Fully Qualified Domain Name으로 DNS의 서버 이름 = host name + domain name 입니다. host name은 실제 서버에 주어진 컴퓨터의 이름이 domain name은 논리적인 그룹을 표기합니다.. 2023. 3. 16. [Window Server] Primay : 모든 Secondart : 읽기전용만 복제가능 Stub : 제한된 레코드만 복사 가능하다, WC 서버에 스텁 영역을 만든다 NS, SOA, A레코드만 포함된 영역의 복사본을 만든다. 2023. 3. 16. [Server] DNS 쿼리 (Query) DNS 쿼리 (Query) 쿼리는 Recursive(재귀) , Iterative(반복)으로 구분된다. DNS 클라이언트와 DNS 서버는 서로 쿼리를 교환한다. 네임 스페이스를 위한 권한이 있는 DNS서버와 권한이 없는 DNS 서버로 구분된다 네임 스페이스를 위한 권한이 있는 DNS 서버 : 요청된 IP 주소를 응답 네임 스페이스를 위한 권한이 없는 DNS 서버 : 캐시 정보 확인, 전달자 이용, 루트 힌트를 이용한다. DNS 동작 과정 - 권한이 없는 DNS 서버는 권한있는 DNS 서버에 전달자 인자를 넣어서 클라이언트에서 질의가 들어온다면 권한 있는 DNS 서버에서 확인후 전달인자로 권한 없는 서버로 보내주게되면 그때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클라이언트 서버가 로컬 DNS 서버에 쿼리를 보냅니다. .. 2023. 3. 16. [Window Server] DNS 설치 및 설정 ※window 8 로 설정해보았습니다. => 각각의 주소의 dns서버이름을 지정해서 넣어줍니다. ping wb2008.x.com을 해보고 hosts 파일의 역할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actives는 양방향 이 뒤에 다음을 눌러 마법사를 완료해줍니다., x.com의 속성에서 자신의 도메인을 넣어준다. 별칭(CNAME) 을 구성할 수 있다. DNS관리자에서 만들어준 별칭과 호스트들은 위의 그림과 같이 적혀있다. 폴더에는 관리자에서 영역을 삭제후에도 파일은 그대로 남아있다. 그래서 기존의 것을 새로 불러올수 있습니다. 만약 있지만 새로 만들고 싶어서 새파일 만들기 하면 기존파일이 덮어 씌워진다. 역방향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CNAME을 만들기 위해서는 호스트 레코드가 필요하다. 2023. 3. 16. [Linux] vi 명령어 모드형 편집기 => 여러 모드가 있고, 그 모드들 마다 기능이 다른 편집기 화면단위 출력 vi 편집기의 모드 1. 명령 모드 처음 vi편집기를 실행 했을 때, 만나는 모드, 방향키 및 h,j,k,i키를 이용한 이동과 명령 모드 명령어를 사용가능 명령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이동하는 것이 vi모드 이동의 기본 다른 모드 실행 중에 명령모드로 돌아오려면 esc키를 입력 ## 명령 모드의 명령어 r : 현 커서 위치에 있는 한 글자를 입력한 값으로 수정 => 명령모드 상태에서 r 누르고 , 입력가능 dd : 행 단위로 삭제, 앞에 숫자를 입력해서 반복할 횟수를 지정할 수 있음 => 4dd누른경우 해당 커서부터 4 행이 삭제됨 dw : 단어 단위로 삭제, 현재 커서가 있는 부분부터 연결되어 있는 단어를 삭제 x :.. 2023. 3. 15. [Linux Server] dhcp Scope,Reservation 설정 2023.03.15 - [Server] - [Server] DHCP 서버구성하기 종합 [Server] DHCP 서버구성하기 종합 최종 결과로 dhcp 서버들에서 http://www.x.com으로 으로 통신이 잘 되어야 한다. 1.router구성하기 [vios1] int g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 int g0/1 ip add 1.1.12.1 255.255.255.0 no sh router ospf 1 network 1.1.12.0 codejinjinh.tistory.com 위의 상태에서 오른쪽 에서만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etc/dhcpd.conf ddns-update-style interim; ignore client-updates; shared.. 2023. 3. 15. [Server] DHCP 서버구성하기 종합 최종 결과로 dhcp 서버들에서 http://www.x.com으로 으로 통신이 잘 되어야 한다. 1.router구성하기 [vios1] int g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 int g0/1 ip add 1.1.12.1 255.255.255.0 no sh router ospf 1 network 1.1.12.0 0.0.0.255 area 0 network 192.168.10.0 0.0.0.255 area 0 exit router bgp 100 net 192.168.10.0 mask 255.255.255.0 neighbor 1.1.12.2 remote-as 100 exit [vios2] int g0/1 ip add 1.1.12.2 255.255.255.0 n.. 2023. 3. 15. [Linux Server] DHCP 설치 cdrom 마운트 : # mount /dev/hdc /cdrom mount /dev/hdc /cdrom 또는 /mnt => /mnt/Packages , /cdrom/Centos /mnt/Centos df -h => 확인 rpm -qa | grep dhcp => 설치된 파일 확인 rpm -ql dhcp => 이전에 설치된 파일 삭제 yum -y remove dhcp * yum -t install dhcp yum -y install dhcp-devel cd /usr/share/doc/dhcp* cp dhcpd.conf.sample /etc/dhcpd.conf vi /etc/dhcpd.conf service dhcpd restart ok 가 뜨면 서비스가 시작되어진 것이다. option routers [ 게이.. 2023. 3. 15. [Window Server ] DHCP Relay Agent 설치 및 설정 [2008 window server] 서버관리자 => 역할 추가 선택한 후 설치해준다. 설치가 완료되면 서비스를 활성화 시킨다. 로컬영역연결을 활성화 해준다. 릴레이 에이전트 속성에 dhcp 서버의 주소를 적어줍니다. 2023. 3. 14. [Window Server] DHCP - Scope,Reservation 1. Non-Suppernetting 된 SuperScope[대범위] dhcp 서버의 범위를 2개로 만들어 준다. 라우터에는 secondary로 주소를 넣어준다. 나누어진 서버를 대범위로 묶어서 사용할 수 있다. 서버 옵션에는 각각의 서버의 공통된 옵션을 넣을수 있고 각각의 범위옵션에는 각 라우터의 주소를 넣어줄 수 있다. 2.suppernetting된 주소 나누기 192.168.10.10, 192.168.20.20 의 주소만 할당하기 위해 총 범위는 192.168.10.0 ~ 192.168.20.255 범위 설정하고 제외할 범위 - 192.168.10.0~ 192.168.10.9 - 192.168.10.11 ~ 192.168.20.19 - 192.168.20.21 ~ 192.168.20.255 로 제외.. 2023. 3. 14.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