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DART2 [플러터 06] Dart 연산자 Dart 의 final 과 const const 의 경우, 컴파일 타임에서 상수를 정의할 수 있다. 즉, const 로 정의한 상수는 런타임에서 정의되는 값을 설정할 수 없다는 의미다. 예를 들어 DateTime.now() 의 경우 런타임에서 호출 될 때마다 결과 값이 다른데 이러한 값은 const 로 설정할 수 없다. 결국 const 로 설정하는 값은 대부분 리터럴이 될 것이다. final DateTime now = DateTime.now(); // 문제 없음// const DateTime now = DateTime.now(); // compile error //상수 - 한번 할당된 값이 변경되지 않는 변수이다.//dart 에서는 final 키워드와 const 키워드를 제공한다.//둘에 공통점은 값을 .. 2025. 1. 2. [플러터 05] Dart언어의 기초1 변수 = 은 대입연산자오른족 에 있는 값을 변수에 대입할 때 사용오른쪽에 있는값 => (자바에서 리터럴) 기본 메모리 공간스택(stack) - 지역변수, 매개변수힙 영역(Heap) - 동적 변수, 객체 등 정적 영역(Static) - 전역변수, 클래스의 static 변수, 컴파일 시점 상수 등 // 코드의 시작점void main() { // 데이터란? // 사물이리나 현상에서 얻어진 사실 또는 값을 의미한다. // 변수란 뭘까?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즉 값을 저장해 놓고 이후에 재사용 하거나 // 변경할 수 있도록 메모리 공간을 이름으로 할당한 개념을 말한다. // 데이터 타입이란? // 메모리 공간에 들어간 값의 형태이다. int n1 = 10; double d1.. 2025. 1. 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