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1> 윈도우 서버
user1 사용자 생성
c:\share01(all) -→ 공유, 퍼미션 : everyone/full
c:\share02(all) -→ 공유, 퍼미션 : administrator/full
c:\share03(all) -→ 공유, 퍼미션 : user1/full
<2> linux 클라이언트
# rpm -qa | grep samba
# yum -y install samba
# smbclient -L 192.168.10.2
윈도우에서 root계정을 만들고 비밀번호를 설정한 후 smbclient 로 접속하면 파일의 내용이 나온다.
# mount -t cifs // 공유 서버/공유폴더 /마운트될리눅스폴더 -o username=[id],password=[서버 유저의 비밀번호]
# mkdir /dir1
# mount //192.168.10.2/share01 /dir1 root 암호입력!! 또는
mount //[공유 server]/[공유서버의 공유파일명] /[공유받을 파일명]
윈도우 서버의 비밀번호를 적어준다.
# mkdir /dir2
# mount -t cifs // 192.168.10.2/share02 /dir2 -o username=administrator,password=wa@X.COM
# mkdir /dir3
# mount -t cifs // 192.168.10.2/share03 /dir3 -o username=user1,password=wa@X.COM
위와 같은 방식으로 mount해준다.
윈도우에서 만들어준 파일을 확인해보면 리눅스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윈도우 시스템 속성의 보안탭에서 내가 지정한 유저이외의 모든 사용자는 지워준다., 만약 제거가 되지않으면
보안 - 고급 -> 사용권한 변경 -> 이 개체의 부모로부터 상속가능한 사용권한 포함 체크 해제 -> 적용 확인으로 마무리 후 사용자 이외의 모두 지워주고 확인해준다.
728x90
반응형
'Server > Window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 Server] 도메인 - 포리스트 (0) | 2023.03.28 |
---|---|
[Window server] NFS 설치 및 설정 (0) | 2023.03.23 |
[Window Server] DNS 설정 종합 (0) | 2023.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