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erver/Linux Server21 [Linux Server ] Samba 윈도우(클라이언트) -> 리눅스(서버) # useradd [-s /sbin/nologin] linuxuser 삼바공유 -> printer 공유 와 폴더 공유 보임 . http://localhost:631 . net use * /delete (★) => 로그인 내역 지우기 [share1] user3은 공유폴더 접근 및 읽고, 쓰기 가능한가? comment = share1 browseable = no path = /share1 writable = yes read list = user1 => user1이외의 유저에서는 파일을 읽을 수 없습니다. [share2] user3은 공유폴더에 쓰기 불가.. 2023. 3. 24. [Linux Server] NFS 서버 실습 2023.03.23 - [Server/Linux Server] - [Linux Server] NFS Server [Linux Server] NFS Server NFS 서버 # rpm -qa nfs-utils # rpm -qa portmap # yum -y install *nfs* # vi /etc/exports /share 192.168.10.20(rw,sync) => 해당 폴더에 마운트 시킬 nfs클라이언트 ip주소를 적어줍니다. # mkdir /share # chmod 707 /share/ # /etc/init.d/po codejinjinh.tistory.com # vi /etc/exports /share1 192.168.20.1(rw,root_squash) # mkdir .. 2023. 3. 23. [Linux Server] NFS Server NFS 서버 # rpm -qa nfs-utils # rpm -qa portmap # yum -y install *nfs* # vi /etc/exports /share 192.168.10.20(rw,sync) => 해당 폴더에 마운트 시킬 nfs클라이언트 ip주소를 적어줍니다. # mkdir /share # chmod 707 /share/ # /etc/init.d/portmap start # /etc/init.d/nfs start => 두과정을 진행하면 ok가 올라와야 합니다. # rpcinfo -p localhost # exportfs -a => /etc/exports 파일을 읽어들인다. # exportfs -r => /etc/exports 파일을 다시 읽어들인다. # exportfs -v => 현재의 .. 2023. 3. 23. [Linux Server] Slave DNS Slave DNS = 보조 DNS [ Primary DNS Server : 192.168.10.1 ] 1. 네임서버에서 사용할 도메인의 zone 파일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 yum -y install bind caching-nameserver #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 vi /etc/named.rfc1912.zones zone 2. zone 파일 생성하기 # cd /var/named # cp localdomain.zone x.com.zone # cp named.local x.com.rev 3. 퍼미션 설정하기 # chown root.named x.com.zone # chmod 777 x.com.zone # chown root.named x.com.rev .. 2023. 3. 21. [Linux Server] Delegations DNS [ Delegation 하는 DNS Server : 223.255.255.1 ] 1. 네임서버에서 사용할 도메인의 zone 파일을 설정해줘야 합니다. #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 53port 자신의 ip주소 적기 # vi /etc/named.rfc1912.zones 2. zone 파일 생성하기 # cd /var/named # cp localdomain.zone x.com.zone 3. 퍼미션 설정하기 # chown root.named x.com.zone # chmod 777 x.com.zone 4. zone 파일 편집하기 5. 서비스 시작 # service named restar [ Delegation 받는 DNS Server : 211.175.185.1 .. 2023. 3. 20. [Linux Server] sub domain A -> CNAME -> CNAME Linux 도메인에서 서브 도메인을 주는 방법은 zone파일에서 줄 수 있습니다. [hostname].[domain name] zone 파일에 service named restart 다른 pc에서 ping으로 확인해봅니다. $ORIGIN yy.naver.com = > [subdomain].[main domain] 미리 $ORIGIN으로 기점명을 변경하여 다시 $ORIGIN에 기점명을 다시 정의하지 않는 이상 행의 끝까지 지정한 기점명이 유효해 진다. 만약 ping 이 안가진다면 .을 잘 적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INCLUDE 스테이트먼트를 이용함으로써 서브 도메인 "secretary.naver.com."의 정보를 별도 파일로 분리하여 부모의 존 파일에 삽입시킬 수 있.. 2023. 3. 20. [Linux Server] sub domain A -> CNAME -> CNAME Linux 도메인에서 서브 도메인을 주는 방법은 zone파일에서 줄 수 있습니다. [hostname].[domain name] zone 파일에 service named restart 다른 pc에서 ping으로 확인해봅니다. $ORIGIN yy.naver.com = > [subdomain].[main domain] 미리 $ORIGIN으로 기점명을 변경하여 다시 $ORIGIN에 기점명을 다시 정의하지 않는 이상 행의 끝까지 지정한 기점명이 유효해 진다. 만약 ping 이 안가진다면 .을 잘 적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INCLUDE 스테이트먼트를 이용함으로써 서브 도메인 "secretary.naver.com."의 정보를 별도 파일로 분리하여 부모의 존 파일에 삽입시킬 수 있.. 2023. 3. 20. [Linux Server] DNS,DHCP 종합 설정 [dhcp 서버 설정] 2023.03.15 - [Server/Linux Server] - [Linux Server] DHCP 설치 [Linux Server] DHCP 설치 cdrom 마운트 : # mount /dev/hdc /cdrom mount /dev/hdc /cdrom 또는 /mnt => /mnt/Packages , /cdrom/Centos /mnt/Centos df -h => 확인 rpm -qa | grep dhcp => 설치된 파일 확인 rpm -ql dhcp => 이전에 설치된 파일 삭제 yum -y remove dhcp * y codejinjinh.tistory.com 2023.03.14 - [Server/Window Server] - [Window Server] DHCP - Scope,Re.. 2023. 3. 20. [Linux Server] DNS 서버 설치 및 설정 ■ Domain Name Resolving ( DNS 응답순서 : DNS자신 -> Caching -> root DNS ) Client상의 응용이 WWW.YAHOO.COM 에 접속하기 위해 자신의 Local Name Server(TCP/IP 설정시 명시한)에 질의한다. Local NS는 먼저 자신의 캐쉬에 자료가 있는지 확인한 후 발견되지 않을시 Root NS(Root NS의 목록은 갖고있다)에 질의를 던진다. 그러나 Root NS도 WWW.YAHOO.COM 의 자료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COM 도메인을 관리하는 NS를 참고하라는 답변을 보내준다. Local NS는 다시 COM NS에 질의를 던지고, COM NS는 다시 YAHOO.COM의 NS를 일러준다. (루트(도트)와 COM 도메인은 Root NS에.. 2023. 3. 17. [Linux Server] dhcp Scope,Reservation 설정 2023.03.15 - [Server] - [Server] DHCP 서버구성하기 종합 [Server] DHCP 서버구성하기 종합 최종 결과로 dhcp 서버들에서 http://www.x.com으로 으로 통신이 잘 되어야 한다. 1.router구성하기 [vios1] int g0/0 ip add 192.168.10.254 255.255.255.0 no sh int g0/1 ip add 1.1.12.1 255.255.255.0 no sh router ospf 1 network 1.1.12.0 codejinjinh.tistory.com 위의 상태에서 오른쪽 에서만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etc/dhcpd.conf ddns-update-style interim; ignore client-updates; shared.. 2023. 3. 15. 이전 1 2 3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