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에서는 라우팅 정보를 LSA(Link State Advertisement)라고 한다.
자신이 만든 LSA 및 네이버에게서 수신한 LSA를 모두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는 곳에 저장한다.
DDP는 OSPF 라우터의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LSA들을 요약한 정보를 알려 주는 패킷이다.
OSPF LSA 종류
링크 상태 데이터베이스는 에어리어별로 관리되며, 동일한 에어리어에 소속된 내부 라우터들의 링크 상태 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용은 모두 동일한다.(★)
이러한 LSA들은 30분마다 LSA 전체 정보를 전송하는 LSA Refresh를 한다.(무결성)
type 1 (router-LSA) 모든 라우터가 생성
Router link state ( area )
type 2 (Network-LSA)
- DR에서 생성
==> DR과 연결된 라우터에서 DR인 라우터를 확인할 수 있다. Net Link States (Area 345)
type 3 (Summary-LSA)
- ABR 에서 생성
=> 다른 area의 네트워크를 보여준다. Summary Net Link States (Area 0)
type 4 (Summary ASB-LSA)
- ABR
=> ASBR 라우터 아이디를 보여준다.
( 다른 프로토콜과 닿아있는 라우터를 보여준다. Summary ASB Link States (Area )
type 5 (AS External-LSA)
- External link states 재분배된 네트워크 주소를 보여준다.
Type-5 AS External Link States
각 라우터에서 어떤 타입의 LSA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다.
OSPF Stub
ABR 과 연결된 내부 Area로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type5 LSA광고를 차단하고 기본 경로를 전달 .
OSPF에서 Leaf라우터는 라우팅-테이블을 간소화 하여 데이터패킷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
- 라우팅 테이블 크기가 최적화 됨
- 네트워크 안정성이 향상됨
- 라우팅 성능도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음
Stub 사용 전 : "*LSA1 + LSA3 + LSA4 + LSA5" 4 가지의 데이터를 주고받음 .
Stub 사용 후 : "LSA1 + LSA3" 2 가지의 데이터를 주고받음
==> LSA4,5 경로를 차단한다.
## area0은 stub이 되면 안됨
## virtual-link가 구성된 transit Area 는 Stub area로 구성이 안됨
## area 내부에 ASBR이 있는 경우, Stub Area 로 구성하면 안됨 (단, NSSA AREA 에서는 가능)
## Stub area 에 포함된 라우터들은 stub설정을 해야지만, 네이버 관계를 성립할 수 있음
*LSA => Link-State Advertisement Router는 자신의 Link 상태 정보를 LSA로 만들어 동일한 Area에 있는 모든 장비에게 Flooding하여 LSDB를 만든다.
R1(config)# router ospf 1
R1(config-router)# area 1 stub
R2(config)# router ospf 1
R2(config-router)# area 1 stub
< R1>
stub Area 지정시 E1,E2 만 차단 ( E1,E2는 재분배된 아이들)
⇒ 재분배된 E1,E2만 O*IA 0.0.0.0으로 라우팅 테이블에 나타나게 됩니다.
외부와 다른 AS에서 오는 광고정보를 막는것
OSPF 완전 Stub(totally stub)
OSPF에서 Leaf 라우터는 라우팅-테이블을 간소화 하여 데이터패킷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 Stub 사용 전 : "LSA1 + LSA3 + LSA4 + LSA5" 4 가지의 데이터를 주고받음
- Stub 사용 후 : "LSA1 + LSA3" 2 가지의 데이터를 주고받음
R1(config)# router ospf 1
R1(config-router)# area 1 stub
R2(config)# router ospf 1
R2(config-router)# area 1 stub no-summary
** area1으로 지정해 주었기 때문 R3,R4의 테이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OSPF LSA 연습 >
#show ip ospf database
=> 이 명령어로 확인해볼 수 있다.
ADV Router -광고상태
ospf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세요!
2022.12.30 - [Network] - 25. OSPF란 ?
2023.01.01 - [Network] - 26. OSPF AREA 개념( ABR, ASBR,IR )
'Network > Network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8.OSPF - NSSA (0) | 2023.01.02 |
---|---|
26. OSPF AREA 개념( ABR, ASBR,IR ) (0) | 2023.01.01 |
25. OSPF란 ? (0) | 2022.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