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netting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먼저 Subnet mask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ubnetmask란 ?
서브넷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255~ 0 으로 이루어 져 있습니다.
여기서 255는 네트워크 부분이며 0은 호스트 부분을 의미합니다.
255로 된 부분은 무시하고 0으로 된 부분에서 IP를 쪼개어 나누어쓰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네트워크 및 호스트 주소와 분리합니다.
브로드 케스트 영역을 나누기 위함
전 세계에는 수백만 개의 네트워크가 존재하며 그 규모도 각기 다릅니다.
네트워크가 작은 조각으로 쪼개져 있는 경우 이러한 조각을 서브넷이라고 부릅니다.
한 마디로 서브넷은 작은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때 네트워크 성능 개선을 위해 네트워크 관리자가 효율적으로 자원을 분배하는 것이 바로 서브네팅(Subnetting)입니다.
▣ Subnetting
1개의 Network 주소를 여러개의 Network주소로 만들기 classful 처럼 subnetmask를 나누는 것
쪼개놓은 것을 더 쪼갠다.
- subnetting 이용시 장점
- 비용(ip 주소 임대) 절감
- 공인주소 절략
- 보안
classful - 첫 옥텟만 보기
A 0.0.0.0 ~ 127.255.255
B 128.0.0.0 ~ 191.255.255
C 192.0.0.0 ~ 223.255.255.255
D 224.0.0.0 ~ 239.255.255.255
E 240.0.0.0 ~ 255.255.255.255
Subnetting 의 두가지 방법
1. 균등분할
2. 차등분할
균등분할=> 모든 서브넷의 S.M이 같다 = 가져가는 IP개수가 똑같다 = 교과서
차등분할 => 모든 서브넷의 S.M이 다르다 = 가져가는 IP개수가 다르다 = 실전방식
차등분할 큰 조각부터 자른다.
VLSM으로 쪼개세요
예)
1.강사부 필요한 ip개수 16개 2^4 => 2^5 255.255.255.224/27
2.기획부 필요한 ip개수 32개 2^5 => 2^6 255.255.255.192/26
3. 생산부 필요한 ip개수 64개 2^6=64 -2 = 62개가 되니까 2^7=128 를 가져와야 필요개수를 채울수 있다.
255.255.255.128 /25
= > 쪼개는 순서 3 ->2 -> 1
IPv4 = 8bit, 8bit,8bit,8bit ⇒ 128 64 32 16 8 4 2 1 = 256
서브넷마스크 ⇒ 2진수로 1111111(8개),11111111(8개),11111111(8개),000000000
bitmask | netmask | network 대역개수 | host 개수 |
/25 | 128(10000000) | 256/(256-128)=2 | 128 |
/26 | 192(11000000) | 256/(256-192)=4 | 64 |
/27 | 224(11100000) | 256/(256-224)=8 | 32 |
/28 | 240(11110000) | 256/(256-240)=16 | 16 |
/29 | 248(11111000) | 256/(256-248)=32 | 8 |
/30 | 252(11111100) | 256/(256-252)=64 | 4 |
/31 | 254(11111110) | 256/(256-254)=128 | 2 |
/32 | 255(11111111) | 256/(256-255)=256 | 1 |
※ /32는 255.255.255.255를 호스트루트(broadcast)라고 한다. 또는 특정 호스트로 가는 경로를 알릴때 사용합니다.
<문제 1>
192.168. 10.129 /30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할당가능한 주소, 주소 개수를 구하시오.
/30 은 11111100 = 255-3 = 252
subnetmask = 255.255.255.252
총 개수 256 - 252 = 4개입니다. =⇒ 호스트개수는 한 대역대당 4개 입니다.
총 대역대의 개수는 256/4 = 64개로 나뉘어집니다.
시작은 0 ~ 3 / 4 ~ 7 / 8~ 11 ~~ 4의 배수를 네트워크주소로 가진다.
129에서 제일 가까운 4의 배수는 128로
network 주소 = 192.168.10.128 ~ broadcast 주소=192.168.10.131 의 대역을 가집니다.
할당가능한 주소= 192.168.10.129~ 192.68.10.130 총 2개의 ip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 network address 192.168.10.128
- broadcast address 192.168.10.131
- 할당가능한 주소 192.168.10.129 ~ 192.168.10.130
- 할당가능한 주소 개수 2^2-2
<문제2>
191.255.255.10/18 네트워크 주소, 브로드캐스트 주소, 할당 가능한 주소, 사용가능한 호스트개수를 구하시오.
11111111.11111111.11 000000.000000 = 255.255.192.0 서브넷 마스크를 가집니다.
.00111111.11111111 2^14
총 대역대의 개수는 2^6 부분을 256-192 = 64 의 개수로 나누어 줍니다.
한 대역대당 64*256의 개수를 가지게 됩니다.
191.255.0.0 ~ 19.255.255.255
191.255.64.0 ~ 191.255.127.255
191.255.128.0 ~ 191.255.191.255
191.255.192.0 ~ 191.255.255.255의 대역대로 나뉘게 되고,
191.255.255.10이 포함된 대역의 네트워크주소 = 191.255.192.0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1.255.255.255 입니다.
주소개수는 64*256 -2
- network address 191.255.192.0
- broadcast address 191.255.255.255
- 할당 가능한 주소 191.255.191 ~ 191.255.255.254
- 할당 가능한 주소 개수 64*256 - 2 = 2^14 -2
'Network > Network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서브넷팅- 균등, 차등 (0) | 2022.12.22 |
---|---|
6. Routing 우선순위 확인하기 (0) | 2022.12.22 |
5.Router-Dynamic routing (OSPF) (0) | 2022.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