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이번엔 라우터에 연결된 interface를 가지고 라우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p route [목적지의 네트워크주소] [서브넷마스크] [연결된 interface이름]
의 형식으로 각각의 라우터마다 명령해 줍니다.
이렇게 명령어를 선언해 주었을 때 192.168.10.1 에서 191.255.255.1으로 ping을 하게되면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192.168.10.1 에서 2.1.1.2 또는 3.1.1.1등 라우터의 주소로 응답을 요청시에는 전송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목적지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요청을 해도 응답을 받을 수 없습니다.
데이터가 전송되어 지지 않고 있다.
확인 후 ip route에 입력했던 값을 모두 없애줍니다.
** 했던 명령어를 돌리는 방법은 기존에 했던 명령어 앞에 ‘no’ 를 붙여주면 해당 명령이 취소됩니다.
지금까지 했던 ip route 명령어 종류로 default network , next-hope주소, interface를 이용한 주소입니다.
default network : 0.0.0.0 0.0.0.0 [next-hope주소]
interface를 이용한 주소 : [목적지 네트워크주소] [목적지 서브넷마스크] [자신의 interface주소]
next-hope이용 : [목적지 네트워크주소] [목적지 넷마스크] [가장 가까운 라우터주소 ]
를 이용하여 라우터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next-hope= 바로 옆에 연결된 라우터를 의미한다.>
728x90
반응형
'Network > Network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4.Router - Dynamic Routing(Rip) (0) | 2022.12.22 |
---|---|
2. Route - static Routing (0) | 2022.12.22 |
1.IP 주소의 이해 (0) | 2022.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