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 -> CNAME -> CNAME
Linux 도메인에서 서브 도메인을 주는 방법은 zone파일에서 줄 수 있습니다.
[hostname].[domain name]
<유형1 >
zone 파일에
service named restart
다른 pc에서 ping으로 확인해봅니다.
<유형2>
$ORIGIN yy.naver.com = > [subdomain].[main domain]
미리 $ORIGIN으로 기점명을 변경하여 다시 $ORIGIN에 기점명을 다시 정의하지 않는 이상 행의 끝까지 지정한 기점명이 유효해 진다.
만약 ping 이 안가진다면 .을 잘 적었는지 확인해 보세요.
<유형3>
$INCLUDE 스테이트먼트를 이용함으로써 서브 도메인 "secretary.naver.com."의 정보를 별도 파일로 분리하여 부모의 존 파일에 삽입시킬 수 있다.
서브 도메인의 존 파일은 naver.com.zone과 같은 디렉토리(/var/named/)에 보존하고 기술내용은
[$ORIGIN 을 사용한 서브 도메인의 설정] 과 동일하게 설정한다.
728x90
반응형
'Server > Linux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Server] sub domain (0) | 2023.03.20 |
---|---|
[Linux Server] DNS,DHCP 종합 설정 (0) | 2023.03.20 |
[Linux Server] DNS 서버 설치 및 설정 (0) | 2023.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