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314

[정보처리기사 실기] 미들웨어 미들웨어란?양쪽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여러 대의 컴퓨터에 있는 많은 프로세스들에게 어떤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종류원격 프로시저 호출(Remote Procedure Call)클라이언트가 원격에서 동작하는 프로시저를 호출하는 시스템메시지 지향 미들웨어(Message Oriented Middleware)클라이언트가 생성한 메시지는 저장소에 요청할 때 저장하면서, 다른 업무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비동기식 미들웨어ORB(Object Request Broker)객체지향 시스템에서 객체 및 서비스를 요청하고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미들웨어TP 모니터(Transaction Processing Mo.. 2025. 4. 1.
[정보처리기사 실기] 프로젝트 계획 및 분석 프로젝트 관리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정된 기간, 예산, 자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만족할만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하는 기술적, 관리적 활동관리의 목적납기 준수,예산 준수, 품질 준수를 통한 고객 만족 달성고품질의 제품 개발 및 개발 절차 준수프로젝트 핵심 관리 대상사람문제프로세스PMBOK(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ge)PMI(Project Management Institute)에서 제작한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 및 지식 체계5단계 프로세스 그룹프로젝트 착수 - 프로젝트 광범위한 범위 정하는 단계프로젝트 계획프로섹트 실행4, 프로젝트 통제프로젝트 종료 - 검증, 고객 확인개발 비용 산성소프트웨어 개발 비용 계획개발에 필요한 인원, 자원, 기간 등을 고려하여 .. 2025. 4. 1.
[kafka] kafka 디자인 특징 카프카 디자인 특징1. 분산 시스템분산 시스템은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컴퓨터들의 그룹으로서 시스템 전체가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같은 역할을 하는 여러대의 서버로 이루어진 서버그룹을 분산 시스템이라고 합니다.=> 단일 시스템보다 더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분산 시스템 중 하나의 서버 또는 노드 등이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서버 또는 노드가 대신 처리한다.=>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다2. 페이지 캐시카프카는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 페이지 캐시를 이용합니다.OS는 물리적 메모리에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부분을 할당하고 남은 잔여 메모리 일부를 페이지 캐시로 유지해 OS의 전체적인 성능 향상을 높이게 됩니다.이러한 잔여 메모리를 이용해 디스크에 읽고 쓰기를 하지않고, 페이지 캐시를 통해 읽고 쓰는 방.. 2025. 4. 1.
[kafka] 카프카 관리를 위한 주키퍼 아파치 산하 프로젝트인 하둡, 나이파이, 에이치베이스, 스톰 등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부하 분산 및 확장이 용이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이러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게 되면, 분산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위한 안정적인 코디네이션 애플리케이션이 추가로 필요하게 됩니다.주키퍼(Zookeper)주키퍼는 본래 하둡의 서브 프로젝트 중 하나였습니다.대용량 분산 처리 애플리케이션인 하둡은 중앙에서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코디네이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했기 때문에, 서브 프로젝트로서 주키퍼 개발 작업을 진행했었습니다.후에 , 탑 레벨 프로젝트로 승격되었고, 현재는 아파치 카프카 뿐만 아니라 여러 분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주키퍼란?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코디네이션 시스템입니다.분산 .. 2025. 4. 1.
[Kafka] 카프카의 동작 방식과 원리 # 카프카 동작방식카프카는 기본적으로 메시징 서버로 동작합니다. 메시지 단위를 보내는 측 (퍼블리셔 또는 프로듀서)에서 카프카에 토픽이라는 각각의 메세지 저장소에 저장하면서, 가져가는 측(서브스크라이버subscriber, consumer컨슈머)이 원하는 토픽에서 데이터를 가져가게 되어있습니다. 중앙에 메시징 서버를 두고 이렇게 메세지를 보내고 받는 형태의 통식을 펍/섭(pub/sub) 모델이라고 합니다. 프로듀서가 메시지를 컨슈머에게 직접 전달하는 게 아니라 중간의 메시징 시스템에 전달합니다. 이때 메시지 데이터와 수신처 ID를 포함시킵니다. 메세징 시스템의 교환기가 메시지의 수신처 ID 를 포함시킵니다. 메시징 시스템의 교환기가 메시지의 수신처 아이디 값을 확인한 다음 컴슈머들의 큐에 전달합니다. 컨슈.. 2025. 4. 1.
[CS 전공지식] 동기화와 교착상태 공유 자원, 동기화, 스레드 안전, 교착 상태까지 완벽 정리운영체제나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에서 자원 공유와 동기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이슈입니다. 이 글에서는 공유 자원(Shared Resource),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 레이스 컨디션(Race Condition), 동기화 기법, 스레드 안전(Thread Safety), 그리고 교착 상태(Deadlock)까지 핵심 개념을 총정리합니다.✅ 공유 자원이란?공유 자원(Shared Resource)이란 여러 프로세스나 스레드가 동시에 접근할 수 있는 자원을 의미합니다.메모리파일전역 변수입출력 장치 등동시에 접근하면 충돌이 발생할 수 있어 동기화가 필요합니다.🚨 임계 구역(Critical Section)과 레이스 컨디션임계 구역공유 자원.. 2025. 3. 29.
[CS 전공지식] 프로세스와 스레드 프로세스와 메모리 구조, IPC 통신 정리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 메모리 구조, 프로세스 상태, 문맥 교환, 그리고 프로세스 간 통신(IPC)은 시스템 프로그래밍의 핵심 개념입니다.📌 포그라운드 / 백그라운드 / 데몬 프로세스포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며 실행되는 프로세스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사용자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실행데몬(Daemon): 별다른 상호작용 없이 작업만 수행하는 특별한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Windows에서는 '서비스'라고 부름)🧠 프로세스를 구성하는 메모리 구조커널 영역PCB(Process Control Block): 프로세스 관리 정보가 저장된 구조체사용자 영역코드 영역: 실행 가능한 명령어 저장 (읽기 전용)데이터 영역: 전역 변수, 정적 변수 저장힙 영역: 동.. 2025. 3. 26.
[CS전공지식] 운영체제 시스템 콜과 이중모드 시스템 콜과 이중 모드란? 운영체제 핵심 개념 정리운영체제(OS)는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와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오늘은 시스템 콜(System Call)과 이중 모드(Dual Mode)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메모리를 관리하면 안 되는 이유사용자가 직접 메모리나 CPU 같은 시스템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면, 운영체제의 안정성과 보안이 위협받게 됩니다.따라서 사용자는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운영체제에게 요청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되는 것이 바로 시스템 콜(System Call)입니다.🔁 시스템 콜(System Call)이란?시스템 콜은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운영체제에게 요청.. 2025. 3. 26.
[CS전공지식] 운영체제 운영체제(OS)란 무엇인가?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핵심 시스템 소프트웨어입니다.🧠 운영체제의 핵심: 커널(Kernel)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커널(Kernel)입니다.이는 마치 자동차의 엔진, 사람의 심장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시스템 자원을 제어하고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커널커널은 메모리 상에 상주하면서 CPU, 메모리,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등 시스템 자원과 직접 상호작용합니다.🛠 운영체제의 주요 기능운영체제는 크게 두 가지 핵심 기능을 수행합니다.1️⃣ 자원 할당 및 관리 (Resource Management)CPU, 메모리, 저장장치, 입출력 장치 등의 시스템 자원.. 2025. 3. 26.
AI로 무장한 네이버 2기, 최수연 대표의 정면 승부 선언! 🤖 “AI로 무장한 네이버 2기, 최수연 대표의 정면 승부 선언!”26일, 네이버 제26기 주주총회에서 최수연 대표의 사내이사 재선임 안건이 통과되며‘최수연 2기 체제’가 공식 출범했다. 핵심 키워드는 명확하다: AI와 글로벌.📌 “모든 서비스에 AI 입힌다”… 온 서비스 AI 전략최 대표는 “검색, 커머스, 광고 등 네이버 핵심 서비스 전반에 AI를 입힌다”는 전략을 강조했다.특히 최근 선보인 AI 기반 쇼핑 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필두로,발견 → 탐색 → 구매까지 지원하는 에이전트형 AI 서비스들을 연내 잇달아 출시할 계획이다.“커머스 영역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뾰족한 AI 서비스를 만들겠다.” – 최수연 대표🌎 글로벌 사업 확대… 웹툰·라인을 넘어 또 하나의 성공스토리최 대표는 기존의 웹.. 2025. 3. 26.
728x90
반응형